목록소논문 (3)
교직이수하는 관광학도의 강의노트
논문의 제2장은 이론적 고찰이다. 이론적이라는 말 대신 문헌연구 혹은 선행연구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데, 기존 선행연구들이 축적해놓은, 확보해놓은 이론들을 고찰해보는 장이라는 걸 알아두면 된다. 1. 이론이란? 이론이란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변수간의 관계를 자세히 기술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를 제시하는 것 (채서일, 2003) 사회에는 여러가지 현상이 발생한다. 우리는 그것이 왜 발생했는지 알아봐야 하며, 이 현상이 미래에 어떻게 될 것인지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 때 필요한게 이론이다. 예를들어 우리나라의 여행 관광객이 갑자기 증가한 현상이 발생했다면 그 현상에 대해서 '왜? 그리고 앞으로는?' 이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런 현상을 설명해보고 싶어하는데, 이때 우리는 이론을 참고하고는..
학술논문에서 가장 앞장에 있는 부분을 서론이라고 한다. 가장 앞에 있는 부분이 서론이기 때문에 주로 서론부터 작성을 하는데 늘 그런 것은 아니다. 본론 결론을 다 쓰고 맨 마지막에 서론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부분은 기술적인 부분이니까 크게 중요하지 않고, 이런 경우가 있다는 것만 알아두면 된다. 오늘 이 포스팅의 주된내용인 서론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자. 서론은 보통 역삼각형(▽) 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역삼각형 구조라는 건 일반적인 내용(General)으로 시작해서 구체적인 내용(Specific)으로 정리하는 형식을 말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일반적 진술(연구배경) -> 연구동향-문제제기 -> 연구목적'순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중에서도 문제제기가 가장 중요하다. 이론적/방법론적 ..
대학에 진학하면 자료조사를 할 때 논문을 한번씩은 참고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이러한 '논문'이 무엇이고, 어떻게 작성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논문이란? 논문은 특정 학문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는 글입니다. 학위논문은 논문의 한 종류로, 작성과정에서 지도교수와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2. 논문 작성 순서 1) 연구 주제 선정 2) 연구계획서 작성 3) 선행연구조사 4) 자료수집 5) 논문 작성 6) 제출 및 심사 3. 논문 목차의 기본구성 제 1장 서론: 문제제기가 꼭 있어야 함 - 연구배경 및 필요성, 목적을 작성하며 필요시엔 논문의 구성 또한 작성합니다. 제 2장 이론적 배경 - 연구모형의 변수에 대한 내용 정리 (개념, 구성요소, 선행연구) 제 3장 연구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