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글쓰기 (2)
교직이수하는 관광학도의 강의노트
5장 결론 (논의 및 시사점) 저자의 주관적 논리 1. 구성 1-1. 요약 1-2. 논의(discussion) : 4장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과 선행연구의 관계들을 이야기함. 이것을 길게 쓸수록 학위논문의 수준이 높아짐. 1-3. 시사점: 시사점은 학술적, 실무적 두 가지 종류가 있음. 시사점은 유용하게 적는게 중요함. 1-4. 한계 2. 이론은 현실에 도움이 되는가? 이론을 다루는 논문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고민해야함. 애초에 이론의 목적이 현실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임. 이론이 되었으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 다시말해 이론이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있어야 함. 한편의 논문의 시사점은 미약하거나 도움이 안될 수 있으나 (이론적 한계, 현실세계에 대한 이해 부족), 여러 논문을 참고해 ..
학술논문에서 가장 앞장에 있는 부분을 서론이라고 한다. 가장 앞에 있는 부분이 서론이기 때문에 주로 서론부터 작성을 하는데 늘 그런 것은 아니다. 본론 결론을 다 쓰고 맨 마지막에 서론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부분은 기술적인 부분이니까 크게 중요하지 않고, 이런 경우가 있다는 것만 알아두면 된다. 오늘 이 포스팅의 주된내용인 서론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자. 서론은 보통 역삼각형(▽) 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역삼각형 구조라는 건 일반적인 내용(General)으로 시작해서 구체적인 내용(Specific)으로 정리하는 형식을 말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일반적 진술(연구배경) -> 연구동향-문제제기 -> 연구목적'순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중에서도 문제제기가 가장 중요하다. 이론적/방법론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