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이수하는 관광학도의 강의노트

[논리논술] 학술논문의 구조 中 1장 서론 본문

대학공부

[논리논술] 학술논문의 구조 中 1장 서론

키위농장주 2021. 10. 11. 10:59

학술논문에서 가장 앞장에 있는 부분을 서론이라고 한다.

가장 앞에 있는 부분이 서론이기 때문에 주로 서론부터 작성을 하는데

늘 그런 것은 아니다. 본론 결론을 다 쓰고 맨 마지막에 서론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부분은 기술적인 부분이니까 크게 중요하지 않고,

이런 경우가 있다는 것만 알아두면 된다.

 

 

오늘 이 포스팅의 주된내용인 서론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자.

서론은 보통 역삼각형(▽) 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역삼각형 구조라는 건 일반적인 내용(General)으로 시작해서

구체적인 내용(Specific)으로 정리하는 형식을 말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일반적 진술(연구배경) -> 연구동향-문제제기 -> 연구목적'순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중에서도 문제제기가 가장 중요하다.

이론적/방법론적 문제제기가 가능하다면 가장 좋은 방법이나 어려운 방법이기에,

우리는 보통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근거로 들어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제기는 선행연구에서 부족한 부분, 아쉬움이 남는 부분을 담은 내용이기 때문에

서론에서 문제제기 단락을 찾을때는

'그러나,하지만,한계가 있다,아쉬움이 남는다'등의 표지를 통해서 찾으면 훨씬 수월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