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이수하는 관광학도의 강의노트
[교육과정론] 교육과정 구성에서 지식이 중요한 이유 본문
Q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지식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가 무엇인지 논쟁할 수 있나요?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우리는 내용,학생,인간상의 관점 중 하나에 비중을 두곤한다. 지식중심 교육과정은 이 중에서도 내용에 초점을 맞춰 교육과정을 다룬 것으로서, 인문주의자들의 주장을 대변하는 용어다. 이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됐지만, 현재까지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 개념이 등장한 고대에는 귀족들에게만 배움이 허용됐다. 실용적인 가치보다는 학문적인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사물보다는 언어와 관련된 내용을 다뤘으며, 보다 추상적이고 내제적인 관념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중세에는 교과의 뿌리인 ‘7자유학과’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이때도 고대와 마찬가지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르네상스시기에는 이 개념이 인문교과로 이어졌으며, ‘자유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자유교육은 말 그대로 자유롭게 하는 교육은 맞지만, 그 이면에 경제활동과 관련된 부분에서 자유롭게 배운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인간으로서 살아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이에 대해 교육한다. 최근에 교육학 연구에서 많이 등장하고 있기도 한 개념인데, 이는 정신적인 부분이 강조되는 시대정신의 영향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지식을 강조한 교육과정도 17세기에 한차례 위기를 겪는다. 중산계급이 등장하면서 실용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있는 우리에게도 지식은 여전히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지식의 구조론은 이를 가장 잘 뒷받침 해준다. 지식의 ‘구조(Structure)’란 학문의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를 말한다. 이것들을 중심으로 배우면, 학습자는 내용을 쉽게 배우면서도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또 어려운 지식과 쉬운 지식간의 간극을 좁힐 수도 있었다.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깊이있는 지식의 탐구를 중요하게 생각했기에 보다 학술적이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많은 수익을 내는 일에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고 있지만,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공부하며 인문학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점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그러한 지식을 간과하며 살다가 많은 정신적인 문제를 마주했기 때문이다. 나는 얼쇼리스의 ‘희망의 인문학’에서 실용적 훈련보다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확인했던 기억이 있기에, 지식중심 교육과정론의 중요성에 보다 더 쉽게 공감하는 바이다.
'대학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논술] 학술논문의 구조 中 1장 서론 (0) | 2021.10.11 |
---|---|
[논리논술] 논문의 기초개념 (0) | 2021.10.11 |
[교육과정론] 듀이의 시선에서 본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0) | 2021.10.08 |
[교육과정론] 미 교육과정투쟁사 중 사회효율성주의자 (0) | 2021.10.08 |
[교육과정론] 내가 체험한 영교육과정 (0) | 2021.10.07 |